등반용 스틱
무거은 짐을 지거나 며칠씩 산행을 할때 효과적인 등반을 위해 등산용 스틱을 사용하는 산악인들을 볼 수 있다. 체중과 짐의 무게를 분산시켜 무릅, 허리 등 신체에 무리를 최대한 억제시키는 안전산행 보조기구가 등반 스틱이다.
등반용 스틱의 가장 큰 효과는 산에 어느 정도 다니는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무릎통증을 에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배낭에 짐을 지고 장시간 걸어서 이동하는 등산의 특성상 허리와 무릎에 어느 정도 충격을 주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무릎통증의 근본원인은 자신의 체력에 비하여 짐을 과다하게 지거나 특히 하산때 내리막에서 무거운 배낭을 지고 뛰어내려오는 등의 행위가 주원인이다.
등산용 스틱의 기본기능은 걸음을 옮길때 등반자의 체중과 배낭의 무게를 합한 하중이 한발에서 다른 발로 이동할 때 스틱을 이용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이다. 등산용 스틱을 올바로 사용하면 걸을때 등산가의 하중이 걸음을 옮길때 한 발에 모두 실리는 것을 30% 가량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발로만 걸을 때보다 양손에 스틱을 사용하면 몽의 균형을 잡는 효과로 안정감이 있는 보행을 하게 된다.
겨울철 산행이나 완경사의 설사면을 이동할 때도 효과적이다. 또한 야간에 사용하면 발걸음을 놓을 자리를 스틱을 통하여 어느 정도 예측하게 되어 다소 어두운 곳에서도 안정감 있는 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니 두발로만 걷는 산행보다 우리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므로 체력소모를 줄이는 산행을 할 수 있다 하겠다.
많은 사람들이 등산용 스틱을 한쪽만 사용하는데 본격적인 등반에서 등반장비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려면 스틱 2개를 1개조로 양손에 모두 사용해야 한다. 우선 등반용 스틱을 사용하기 위해서 스틱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크기를 조절해야 한다. 편안하게 서있는 상태에서 팔꿈치가 직각이 되도록 길이를 조절하면 평평한 평지에서 사용하기에 알맞다. 경사도에 맞추어 올라갈 때에는 조금 짧게, 그리고 내리막에서는 조금 길게 조절하면 사용하기 편하다. 스틱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는 하단과 중단의 길이는 선에 표시된 길이로 고정시키면 중단과 상단에 연결부분에 길이가 나타난다. 이 때 주의할 것은 한계성 이상으로 연결되면 연결부위가 약해져 부러질 염려가 있다.
잡는 방법은 손목고리에 손을 아래에서 위로 집어넣어 손목고리가 손 아랫부분에 걸려 힘과 무게를 받도록 잠아서 스틱으로 땅을 짚었을 때 체중이 충분히 실리도록 사용해야 한다.
경사가 심한 내리막에서는 스틱 손잡이의 머리부분을 감싸듯 잡으면 편하다. 경사가 심하지 않는 곳에서는 팔을 적당히 벌리고 내딛는 발의 반대편에 스틱을 집어서 사용한다. 경사가 심한 오르막에서는 한쪽은 앞에서 당기고 너머지 하나는 뒤에서 미는 방법과 두 스틱을 앞에 짚고 당기듯 오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경사진 사면을 내려갈 때는 경사도에 알맞게 스틱을 밀 듯이 짚어 하중을 실어주면서 발을 떼서 움직여 주는 것이 충격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다. 이것은 사용하는 기본원리로 산에서는 굴곡이 심하므로 자주 사용하여 자기에게 알맞은 사용법을 터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반용 스틱을 사용하는 방법을 숙달하여 제대로 사용하면 비슷한 조건에서 같은 거리의 10% 정도 단축할 수 있다.
인용 : 사람과 산 ,2001. 11월
무거은 짐을 지거나 며칠씩 산행을 할때 효과적인 등반을 위해 등산용 스틱을 사용하는 산악인들을 볼 수 있다. 체중과 짐의 무게를 분산시켜 무릅, 허리 등 신체에 무리를 최대한 억제시키는 안전산행 보조기구가 등반 스틱이다.
등반용 스틱의 가장 큰 효과는 산에 어느 정도 다니는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무릎통증을 에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배낭에 짐을 지고 장시간 걸어서 이동하는 등산의 특성상 허리와 무릎에 어느 정도 충격을 주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무릎통증의 근본원인은 자신의 체력에 비하여 짐을 과다하게 지거나 특히 하산때 내리막에서 무거운 배낭을 지고 뛰어내려오는 등의 행위가 주원인이다.
등산용 스틱의 기본기능은 걸음을 옮길때 등반자의 체중과 배낭의 무게를 합한 하중이 한발에서 다른 발로 이동할 때 스틱을 이용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이다. 등산용 스틱을 올바로 사용하면 걸을때 등산가의 하중이 걸음을 옮길때 한 발에 모두 실리는 것을 30% 가량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발로만 걸을 때보다 양손에 스틱을 사용하면 몽의 균형을 잡는 효과로 안정감이 있는 보행을 하게 된다.
겨울철 산행이나 완경사의 설사면을 이동할 때도 효과적이다. 또한 야간에 사용하면 발걸음을 놓을 자리를 스틱을 통하여 어느 정도 예측하게 되어 다소 어두운 곳에서도 안정감 있는 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니 두발로만 걷는 산행보다 우리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므로 체력소모를 줄이는 산행을 할 수 있다 하겠다.
많은 사람들이 등산용 스틱을 한쪽만 사용하는데 본격적인 등반에서 등반장비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려면 스틱 2개를 1개조로 양손에 모두 사용해야 한다. 우선 등반용 스틱을 사용하기 위해서 스틱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크기를 조절해야 한다. 편안하게 서있는 상태에서 팔꿈치가 직각이 되도록 길이를 조절하면 평평한 평지에서 사용하기에 알맞다. 경사도에 맞추어 올라갈 때에는 조금 짧게, 그리고 내리막에서는 조금 길게 조절하면 사용하기 편하다. 스틱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는 하단과 중단의 길이는 선에 표시된 길이로 고정시키면 중단과 상단에 연결부분에 길이가 나타난다. 이 때 주의할 것은 한계성 이상으로 연결되면 연결부위가 약해져 부러질 염려가 있다.
잡는 방법은 손목고리에 손을 아래에서 위로 집어넣어 손목고리가 손 아랫부분에 걸려 힘과 무게를 받도록 잠아서 스틱으로 땅을 짚었을 때 체중이 충분히 실리도록 사용해야 한다.
경사가 심한 내리막에서는 스틱 손잡이의 머리부분을 감싸듯 잡으면 편하다. 경사가 심하지 않는 곳에서는 팔을 적당히 벌리고 내딛는 발의 반대편에 스틱을 집어서 사용한다. 경사가 심한 오르막에서는 한쪽은 앞에서 당기고 너머지 하나는 뒤에서 미는 방법과 두 스틱을 앞에 짚고 당기듯 오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경사진 사면을 내려갈 때는 경사도에 알맞게 스틱을 밀 듯이 짚어 하중을 실어주면서 발을 떼서 움직여 주는 것이 충격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다. 이것은 사용하는 기본원리로 산에서는 굴곡이 심하므로 자주 사용하여 자기에게 알맞은 사용법을 터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반용 스틱을 사용하는 방법을 숙달하여 제대로 사용하면 비슷한 조건에서 같은 거리의 10% 정도 단축할 수 있다.
인용 : 사람과 산 ,2001. 11월